# K - 패스
- K - 패스 : 이용 계층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약 20~ 50% 만큼 적립되고, 다름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
- 혜택 : 이동거리, 지출 금액과 상관없이 월 21회부터 최대 월 60회까지 환급 / 지출 금액의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 53.3% 환급
- EX) 회당 1500원씩 60회를 지출했을 때 청년층은 이용금액의 30%인 450원을 60회 환급받아 27,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점!
- 기존 알뜰교통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카드 교체없이!!!! 가능합니다.
# 기후 동행 카드
- 기후 동행 카드 : 서울 지하철 1∼9호선과 신림선, 우이신설선, 수인분당선, 경춘선, 경의중앙선, 공항철도 서울~김포공항까지 모든 지하철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다만 신분당선의 경우 요금 체계가 달라 이용이 제한된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합니다.
- 2개의 요금제 출시 : 65,000(따릉이 포함) / 62,000
- 기후동행카드로 매달 41번 이상의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실절적 이득!!.
# 청년도약계좌
- 청년도약계좌 : 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(국정과제91)을 위해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으로 사회 출발 시 자립할 수 있는 기반 마련
- 지원내용 : (적금방식) 월 최대 70만원 이하 자유적립(회차별 최소 1천 원 이상 1천 원 단위 입금)
☞ 가입일에 관계없이 매월(1일~말일까지) 70만원, 연간 납입한도 840만 원 초과 불가
(가입기간) 5년(60개월)
(적금이율) 최대6%(기본금리 3.8~4.5%, 가입 후 3년 고정금리, 이후 2년 변동금리)
☞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(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) 참고
(비과세혜택) 만기 해지 시 은행금리에 대해 비과세 혜택(조특법 제91조의 22)
(정부기여금) 개인소득 수준 및 적금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금
☞ 개인소득 6,000만 원 초과 및 ‘소득 없음’의 경우 정부 기여금 미지급 - 대상 : 만 19~34 이하 / 연소득 7500만 원 이하의 청년 중 가구중위소득 180% 이하
- 유용한 점 : 청년희망 적금 가입자들이 도약계좌로 환승 시 18개월간 70만 원을 납부한 것으로 인정된다는 점입니다. 환승 후 19개월 차부터 만기까지만 유지하시면 됩니다.
# 청년내일저축계좌
- 신청기간 : 23년 5월 모집 예정
- 지원대상 : 만 19~34세 이하 /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, 사업 소득이 월 50만 원 초과 ~월 220만 원 이하 /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- 본인 적립금 (10만 원)에 정부 지원금(10~30만 원)을 매칭하여 지급
- 매월 10~50만 원까지 자유 저축!! , 3년간 매월 10만 원씩 저축 시 , 정부에서 매월 30만 원 지원해 주면서, 만기 시에는 1440만 원!!!!
# 청년 월세 지원
- 청년 월세 지원이 1년 연장되어서 2024년도에도 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.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청년 월세를 한시적으로 지원합니다.
- 지원 대상 : 만 19세~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
- 지원 금액 :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 임차료 지원
#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50% 감면
- 지원인원 : 56만 명
- 지원대상 : 만 34세 이하 구직 청년
- 지원내용 : 연 최대 3회, 응시료 50% 감면
- 취준생의 자격증 응시료 부담을 줄여주는 좋은 정책인 거 같습니다.
'잔잔바리 이야기 > 생활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건 알고 가자!!! / 월별 해외여행지 추천 / 여행가기 좋은 시기 / 나라별 여행시기 추천 (1) | 2024.01.19 |
---|---|
맛집 체험단 찐 후기, 경험 /선정 꿀팁 / 업체별 특징 / 식비 버는 법 / 선정되었을 때 진행방법 등등 .. 다 모았다. (12) | 2024.01.09 |
신년맞이, 새해 목표 세우기 (1) | 2024.01.03 |